왕의 남자 (爾) – 자유를 찾은 공길이 부럽다

왕의 남자 (爾) – 자유를 찾은 공길이 부럽다


“황산벌”에서 역사의 숨겨진 이면을 재조명하여 웃음과 감동을 주었던 이준익 감독의 신작 “왕의 남자”는 보지는 못했지만 알려진 바 연극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연극이 원작이라는 것보다 내가 관심이 있었던 것은 바로 역사의 재조명 작업을 “황산벌” 이후 다시 했다는 것이었다.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을 만큼 이준익 감독은 황산벌에서 역사적 상상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역사 속 세계를 그려내었고 그 속에 위트와 감동을 불어 넣었었다. 더욱이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었던 조선시대 비운의 왕들로 생각한 연산군과 광해군 두 인물 중 연산군이 그 배경이 되니 보고 싶은 영화 1순위였다. 비록 늦게 보기는 하였지만.

기대했던 것 만큼 “황산벌”에서 김유신과 계백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었듯이 영화 속의 연산군의 모습을 역사서에서 표현되었던 모습과는 다른 관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공길을 앞에 두고 연산군이 직접 인형극을 하는 장면에서 연산군 내면의 모습을 가장 극단적으로 보여준 좋은 장면이었다.

또한 이 영화는 연산군의 이야기가 주된 이야기가 아니고 조선 시대 가장 밑바닥 존재 중 하나였던 광대를 통해 인간이 행복할 때가 자유를 얻었을 때인가, 권력을 얻었을 때인가를 왕과 광대를 대비시켜 보여주고 있다.

풍자적이기는 하지만 마음껏 읖조리는 광대의 해학적 타령에 왕의 관모마저 던지며 그 앞에 엎드리는 연산군의 모습은 권력은 있으되 정작 자신은 하고 싶어도 못하는 말을 마음껏 내뿜는 장길에게서 부러움을 느껴 그 자유를 얻고자싶은 마음의 표출이 아니었을까싶다. 하지만 그것을 얻지 못하기에 그것을 가지고 있는 공길에게서 위안을 받고자 하나 그마저도 얻을 수 없는 모습은 왕이라는 권력의 어두운 이면을 연산군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장생이 자유와 의지를 뜻하는 인물이고 연산이 권력과 속박을 뜻하는 인물이라면 공길은 어쩌면 우리들이었는 지 모르겠다. 자유를 원하지만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지시에 이끌리는 모습은 우리 자신의 모습이지 않겠는가. 그래도 감동적인 것은 비록 지금의 우리는 그렇지 못하지만 공길은 그 자유를 찾고자하는 의지를 표출했다는 점일 것이다.

내용의 전개외에도 볼만한 꺼리가 많은 영화였다. 조선시대 한양의 저자거리라고 느낄 수 있는 고증에 의한 풍경은 기본이고 그들의 복장, 특히 광대의 복장과 화려하고 예쁜 궁중의 복장은 유려하면서도 화려한 뛰어난 색채를 보여준 의상이었다. 또한 장항선, 유해진 등의 조연들이 받쳐준 탄탄한 연기도 이 영화의 재미를 높이는 한 몫을 단단히 하였다. “황산벌”에서도 그랬듯이.

PS : 연극을 보고 싶다는 사람이 있는 데 정말로 같이 보고 싶은 작품이다.

OST 중에서 “프롤로그-먼길”

플레이버튼() 클릭하면 연주됨

Loading

댓글 남기기